회사에서 정신 없이 일을 하다보면, 새로운 용어를 많이 듣는다.
'어떠한 것'이 있는지 알고는 있지만 용어는 모르다가, 나중에 찾아보고 '아 그거였구나!' 하게 되는 부분들이 있는데 딥 링크가 바로 그런 부분이었다.
딥 링크의 정의는 아래와 같다.
World Wide Web에서의 딥 링크는 웹 사이트의 홈 페이지가 아닌 웹 사이트의 특정, 일반적으로 검색 가능하거나 색인이 생성 된 웹 콘텐츠에 링크하는 하이퍼 링크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In the context of the World Wide Web, deep linking is the use of a hyperlink that links to a specific, generally searchable or indexed, piece of web content on a website (e.g. "http://example.com/path/page"), rather than the website's home page (e.g., "http://example.com").
간단히 웹 상에서는 단순 도메인이 아닌, '특정 콘텐츠'로 다이렉트로 이동할 수 있는 링크를 말한다.
앱 상에서의 딥 링크란 어떤 것일까?
쿠팡, 무신사, 지그재그 ... 와 같은 대표적인 이커머스 회사들에서 익히 볼 수 있는 방식이다.
우리는 SNS를 사용하다보면 페이스북, 인스타그램과 같은 곳에서 광고를 볼 수 있고 그 광고를 클릭했을 때 앱이 설치되어 있다면 앱 내의 '해당 상품'이 보여지는 페이지로 바로 이동하기를 원할 것이다. 앱이 설치되지 않았다면 해당 앱을 설치하는 페이지로 이동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만약에 해당 상품의 페이지로 바로 이동하지 않는다면 어떨까?
내 경우에는 마음에 드는 상품이 있었지만, 앱으로 이동해서, 검색해서. 하는 방식에 귀찮음을 느껴서 구매의사가 갑자기 꺾인 적도 있었다. 이것은 이커머스에서는 중요한 마케팅 방식이기도 한 것이다.
딥링크의 종류
1. URL schemes
딥링크의 가장 초기 형태이다.
URL 스킴을을 앱에 정의하는 방식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딥 링크는 앱에 Scheme값을 등록하는 형태로 앱을 구분한다.
스킴은 앱마다 등록할 수 있는 값으로 "특정 스킴값을 호출하면 특정 앱이 오픈되도록" 만든다.
만약 트위터 앱을 오픈하고자 한다면 twitter:// 라는 스킴값을 이용하면 된다. 앱 내에서의 특정 페이지는 'path' 값으로 구분합니다. 예를 들어, 트위터 앱의 회원가입 페이지를 오픈하고자 한다면 twitter://signup 이라는 값을 사용한다.
URI 스킴 방식은 Scheme://Path라는 두개의 요소로 구성된다.
- Scheme://Path
- Scheme = 앱을 특정함 (트위터)
- Path = 앱 내 페이지를 특정함 (트위터 내 회원가입 페이지)
단점 : 앱 수가 증가하면서 앱 스킴값이 중복될 수 있게 되었고, 앱에 등록된 스킴값이 독자적인 고유값인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따라서 하이재킹(동일 앱 스킴값을 사용하여 이동하는 앱 주소를 훔치는 것)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2. Universal Link, App Link
URL schemes가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2015년 하반기에 iOS와 Android 플랫폼은 각각 새로운 딥링크를 개발하여 발표했다.
iOS는 Universal Link
Android는 App Link
각각 도메인 주소를 통한 딥 링크 방식이다.
단점 : 모든 앱에서 유니버셜 링크와 앱 링크 오픈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앱 링크는 구글에서 만든 앱에서만 동작하고, 다른 앱에서는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다. 유니버셜 링크역시 애플에서 만든 앱 외에는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다.
딥링크의 문제점
- 앱 미설치자의 경우, 앱스트어로 이동시 사용자를 추적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 마켓을 이동하는 과정에서 딥링크가 유실되어 설치 후에 어떤 딥링크를 통해 앱을 설치했는지 알 수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디퍼드 딥링크를 사용한다.
디퍼드 딥링크
- 새로 앱을 설치한 사용자(NRU, Newly Registered User)를 집계할 수 있다. (마케터의 광고 효율성을 측정할 수 있다.)
-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설치와 동시에 보여줄 수 있다.
- 앱 내 콘텐츠를 목적으로 설치한 사용자의 동선을 줄일 수 있다.
이런 장점을 지닌 디퍼드 딥링크는 각각의 OS 별로 구현하는 방식이 다르다.
'IT > Teckweek'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bounce / Throttle (0) | 2021.03.18 |
---|---|
어노테이션Annotation (0) | 2021.02.09 |
그로스 해킹이란? (0) | 2021.01.21 |
코드 컨벤션 (0) | 2021.01.15 |
해시 충돌 (0) | 2020.12.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