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ll147

2021 이직 후기 어쩌다보니 새로운 회사로, 그리고 직군을 옮기게 되었다. 계속 해보고 싶었던 일이었지만 모두가 '그건 별로야'라고 하는 말들에 그냥 음, 그런가. 하고 살다가 그래도 결국 해보고 싶다는 마음 하나로 결정을 내려버렸다. 주변의 소중한 사람들의 많은 조언과 걱정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일인 것같고, 앞으로도 더 열심히 앞으로 가봐야지 싶다 :) 21.06.21 이 글을 공개할 때는 내가 정말로 성공적으로 이직을 했을 때였으면 하는 마음에, 현재 회사에서 수습기간이 끝난 지금 글을 공개한다. 정말로 어쩌다보니, 였던 것이 컸다. (..) 지인들은 때로 말리기도 했고, 아직은 괜찮다며 오히려 더 해보라는 말도 해주었다. 새로운 곳에서 새로운 일을 하게 되다보니 더 배울 것도 많고 아직은 생소한 점도 많지만. 이직 .. 2021. 6. 21.
로드밸런싱 면접 질문으로 이런 류의 질문을 꽤 들어봤을 것이다. (특히나 이커머스 계열의 회사이거나 서버 직무라면) "안정적인 인프라를 만들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블랙프라이데이와 같은 많은 트래픽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미리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그냥 로드밸런서를 사용해서, 서버를 계층화하여 부하를 분산시킨다. 와 같은 심플한 대답을 하다가, 최근에 본 다대다 면접에서 어플리케이션 / 서버 파트별로 꽤 상세하게 대답한 다른 면접자를 보면서 한 번 되짚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해서 주제를 선정하게 되었다. 기본적으로 많은 트래픽이 발생한 경우 서버에서 대처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이다. 스케일 업(Scale Up): 서버에 CPU나 RAM 등을 추가하여 서버의 하드웨어 스펙을 향상시키는 방.. 2021. 6. 10.
컴퓨터 비전 스터디 7주차 : 21.05.23 1. 에지 검출의 기초 물체의 경계에서는 명암값에 급격한 변화가 일어난다. 그에 비해 물체 내부나 배경 영역은 변화가 없거나 있어도 작은 변화만 발생한다. 이것이 바로 에지 검출edge detection의 핵심 토대이다. 에지 : 영상의 명암, 컬러, 또는 텍스처와 같은 특성이 급격히 변화하는 지점 모든 에지 검출 알고리즘은 변화를 측정하고 변화량이 큰 곳을 에지로 취하는 원리를 따른다. 1. 디지털 영상의 미분 수학에서 변화를 측정하는 기초 이론은 미분이다. 하지만 컴퓨터 비전이 다루는 디지털 영상은 연속 공간이 아닌, 이산 공간에서 정의된다. 따라서 이산 공간에서 도함수를 근사화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Δx를 얼마로 할 것인지가 핵심인데, 이산 공간에서 가장 작은 단위는 1이므로 Δx = 1이라고 가정.. 2021. 5. 24.
컴퓨터 비전 스터디 6주차 : 21.05.09 Chapter 2 연습문제 1. 명암 단계가 [0, 9]이고 크기가 5 X 5인 영상 (1) 히스토그램을 구하시오. h = (1, 3, 4, 6, 5, 1, 1, 3, 1) h(l) = (0.04, 0.12, 0.16, 0.24, 0.2, 0.04, 0.04, 0.12, 0.04) (2) 히스토그램 평활화를 위한 매핑 표를 구하시오. c(l) = (0.04, 0.16, 0.32, 0.56, 0.76, 0.8, 0.84, 0.96, 1) = 누적 히스토그램 (3) 평활화된 영상을 제시하시오. out(l) = (0.36, 1.44, 2.88, 5.04, 6.84, 7.2, 7.56, 8.64, 9) 1 1 3 3 3 0 1 5 7 5 3 5 8 9 5 7 7 9 9 9 5 7 7 7 5 2. 연결요소 번호 .. 2021. 5. 22.
컴퓨터 비전 스터디 5주차 : 21.04.25 5. 다해상도 업샘플링upsampling : 해상도를 늘리는 영상 처리 연산 다운샘플링downampling : 해상도를 줄이는 영상 처리 연산 다양하게 변화된 상황(EX. 어떤 영상에서는 사람이 영상 전체에 나타나고, 다른 영상에서는 아주 작게 나타남)에 상관없이 물체를 안정적으로 찾아내고 인식하는 것은 컴퓨터 비전의 궁극적인 목표 중 하나이다. 위의 이미지는 이러한 요구에 따라 고안된 기법인 영상 피라미드image pyramid이다. 피라미드는 해상도가 다른 여러장의 영상으로 구성된다. (f0 ~ f3) 이를 다중 해상도multi-resolution 영상이라고 부른다. 이 구조는 *거침과 세밀함 처리 방식에서 강점을 제공한다. *거침과 세밀함coarse-to-fine 처리 방식 : 저 해상도의 거친 영.. 2021. 5. 2.
Reactive Programing이란? * 이 글은 전적으로 개인적으로 공부하면서 중얼거리는 글입니다... 틀린 내용이 많을 수도 있습니다.. 리액티브 프로그래밍....맨날 들을 때마다 머리가 아프다... 왜냐면 아직도 난 이것에 대해 감을 못잡았기 때문이다... 비동기적인 데이터를 처리할 때 유용하다는 건...잘..알겠다... 코딩하면서 쓰다보면 대충 그런거 같더라... 대충 그런거 같다로 넘기는 것들이 한 열댓개가 넘어가자 이해도가 미쳐돌아가기 시작했다.. 살려줘.... 심지어 RxJava, RxKotlin 같은 식으로 쓰는데 나는 Reactive Programing == Rx라고 생각했건만 그것도 아니라는데, 미쳐돌아가는 대 환장 이해도속에 공부를 시작해보도록 ... 하자.. 자칫하다간 아무도 이해못하는 웅앵웅이 될 수 있으니 아주 처음.. 2021. 4. 28.
프로세스와 스레드 프로세스는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메모리에 올라와서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인스턴스) 프로세스는 코드, 데이터, 힙, 스택 별로 각각의 주소공간에 독립적으로 할당받는다. 반면 스레드는 스택만 따로 할당 받고 나머지는 서로 공유한다. 프로세스는 자신만의 고유 공간과 자원을 할당받아 사용하는 데에 비해 스레드는 다른 스레드와 공간, 자원을 공유하면서 사용한다. 스레드는 프로세스의 실행되는 여러 흐름의 단위를 의미한다. 프로세스마다 메인 스레드를 포함하여 최소 1개의 스레드를 소유한다. 멀티프로세스의 장점은 안전성이지만, 각각의 메모리 공간을 갖고 있어 작업량이 많을 수록 오버헤드가 발생한다. 반면 멀티 스레드는 독립적인 프로세스에 비해 공유 메모리를 사용하여 시간, 자원 손실이 적다는 장점이 있지.. 2021. 4. 25.
navigateUp(), popBackStack() 차이 navigateUp()과 popBackStack()은 무슨 차이가 있을까? 먼저 둘의 차이를 알아보기 이전에 Navigation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자. Navigation이란? 네비게이션은 사용자가 앱 내의 여러 콘텐츠를 탐색하고, 다시 나올 수 있도록 하는 상호 작용을 의미한다. Navigation refers to the interactions that allow users to navigate across, into, and back out from the different pieces of content within your app. 간단히 말해 Acitivty-Fragment 간의 Transcation을 쉽게 구현하기 위한 Jetpack의 Component이다. 또한 네비게이션은 아래와 같은 .. 2021. 4. 18.
웹 토이 프로젝트 후기 회고라고 적으려다가 뭔가 거창해보여서 후기로 고쳤다. 왜냐면 나는 그냥 소감문을 남기고 싶을 뿐이라서.. 스케치에 남아있는 기획서도 나중에 정리해서 올려볼까 싶다. 프로토타이핑까지는 안 썼지만 (..) 만들면서 역시 기획은 직업으로 (내가) 못 해먹겠다. 역시 기획은 디자인 감각도 있는 더 짱 똑똑한 사람들이 하는 거디 이 플젝 이후에 나는 자바 스크립트랑 1도 안 맞는다는 엄청난 결론을 얻었다. 이상하게 프로젝트 코드는 수정할 수 있는데 아무 것도 머리에 남은 것이 없다 ㅋㅋㅋㅋㅋㅋㅋ 내 기준 작성하면서도 문법을 알 수 없는 언어 TOP 1 정도에 올라갔다고 보면 된다... 웹 개발 자체는 생각보다 재밌었는데, 이상하게 언어랑 안 맞고 / 공부하고 싶지도 않고..ㅋ 사실 기획/디자인 단계가 제일.. 스.. 2021. 4. 17.
컴퓨터 비전 스터디 4주차 : 21.04.11 4. 영상 처리의 세 가지 기본 연산 영상 처리는, 화소 입장에서 새로운 값을 부여받는 것을 뜻한다. 새로운 값을 '어디서 취하느냐'에 따라 연산을 세 가지로 구분 할 수 있다. 점 연산Point Operation 어떤 화소가 자신의 값만 보고 새로운 값을 결정하는 경우 영역 연산Area Operation 이웃에 있는 몇 개의 화소들을 보고 새로운 값을 결정하는 경우 기하 연산Geometric Operation 일정한 기하학적 규칙에 따라 다른 곳에 있는 값을 취할 수 있는 경우 1. 점 연산 점 연산은 아래와 같은 식으로 쓸 수 있다. 출력 영상 f에서 화소(j, i)의 값은 k개의 입력 영상에서 같은 위치에 존재하는 화소의 값에 따라 정해진다. 대부분 k = 1인 한 장의 영상을 입력한다. (특정 화.. 2021. 4. 15.